컴퓨터 유지보수 팁입니다.
기업체에서는 아직 펜티엄4 Single Core급의 컴퓨터를 많이 쓰고 있습니다.
보통 구형 PATA 80G를 사용하고
백업을 위해 40:60의 비율로 C: drive와 D: drive 로 파티션을 분할 세팅되어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파일 저장을 하실 때 바탕화면과 내 문서에 많이 하십니다.
그러다보면 어느새 C: drive가 가득차서 시스템 속도에도 영향을 미칠 때가 있습니다.
물론 백업을 위해 D: drive 로 파일을 복사해서 옮겨야 하겠지만,
하드용량의 90% 이상을 DATA로 가득 채워져 있을 때 병목현상으로 아주 느리게 복사될 경우가 있습니다.
XP에서는 보통 pagefile.sys 용량이 2G정도로 hiberfil.sys 1.5G = 3.5G로 잡혀있습니다.
Win7에서는 pagefile.sys 용량이 2G + hiberfil.sys 용량이 2.2G = 총 4.2G로 잡혀 있습니다.
※ 제 경우의 용량입니다. hiberfil.sys 용량은 컴퓨터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.
하드 가격도 매우 비싼 요즘
구형하드 80G에서 2~4G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매우 큽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사설은 그만 줄이고 파일 제거 방법 시작하겠습니다. ==================
먼저 XP, 원도우7 공통의 낭비 pagefile.sys 제거 방법입니다.
- 바탕 화면의 [내 컴퓨터]를 가르키고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시면
다운 메뉴에서 맨 아래쪽 [속성]을 클릭합니다.
- 창 왼쪽 위의 [고급 시스템 설정 ] 클릭합니다.
- 고급란에서 성능 >> 설정(S)을 클릭합니다.
- 아래 그림처럼 탭메뉴에서 다시 고급란을 클릭합니다.
가상 메모리 즉 pagefile.sys를 수정하기 위해 오른쪽의 변경(C)을 클릭합니다.
- 목적지에 도착했습니다.
그림 상단의 □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(A) 체크 해제를 합니다.
if 메모리가 2G이하이시면 아래그림과 똑같이하시고 설정(S) 클릭 후 재부팅합니다.
if 메모리가 3G이상이시면 ○페이징 파일 없음(N)에 체크하시고 설정(S) 클릭 후 재부팅합니다.
======= 재부팅 후 아래 그림과 같은 폴더옵션에서
□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(권장) 체크해제하시고
○숨김 파일, 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 체크하시고 적용(A) 클릭합니다.
- C: drive 에 들어가보면 pagefile.sys가 수정되거나 삭제되었음을 확인하실 수 있을겁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 다음 과정인 hiberfil.sys 제거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. ==========================
- 원도우XP시면 작업표시줄의 시작 >> 실행 클릭하시고 실행창에 cmd 입력하시거나,
원도우7 이시면 시작 >> 검색창에 cmd 입력하시면 명령프롬프트 창이 뜹니다.
pagefile.sys 제거 확인을 위해 [폴더 옵션] 설정을 변경하셨다면
C: drive에서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※ 참고로 hiberfil.sys를 다시 활성화시키려면 명령프롬프트 창을 띄우신 후
위 그림과 비슷하게 powercfg -h on 를 치시면 됩니다.
- 씨엠테스 ( CMTES) www.kosok.co.kr
컴퓨터 유지보수, 네트워크 유지보수, 서버 유지보수 전문기업 -
'열심히 공부해요~~~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평균을 구하는 AVERAGE, AVERAGEIF 함수 (0) | 2013.02.16 |
---|---|
엑셀 도장 이미지 삽입방법 (0) | 2013.01.06 |
문자 또는 숫자가 입력된 셀만 선택하기 (0) | 2013.01.01 |
▣ 컴퓨터 초보를 위한 잘쓰는 용어의 뜻 모음 (0) | 2009.03.02 |
[스크랩] 아름다운 우리말사전 (0) | 2007.05.22 |